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

한눈에 알아보는 전세보증보험 업체 비교

안녕하세요. Tren-d입니다.


저번 카카오뱅크 청년 전월세 대출을 알려드리면서 전세보증보험에 대해 잠깐 언급했는데요.

서울의 경우 전세가가 매매가의 80~100%까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아무래도 걱정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불안감에 가입하려 마음을 먹었더라도 여러 업체가 전세보증보험 상품을 판매하고 있어 고민이 되실텐데요.

지금부터 각 사의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세보증보험은 SGI 서울보증보험 /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 HF 주택금융공사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업체명 보증요율 보증한도 가입 창구 특이사항
SGI 서울보증보험 아파트:
연 0.192%
기타 주택:
연 0.218%
아파트 무제한
기타 주택 10억 이하

매매가의 90% 이내
전화: 1670-7725

인터넷: www.sgidirect.co.kr/insu_contents/product3.php?wr_id=4&merchant_id=

전세자금 대출 받은 경우 가입 불가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금/주택유형/부채비율에 따라 상이

0.115%
~0.154%
수도권 7억이하,
그 외 지역 5억 이하
매매가의 70~100% 이내
은행: 신한/국민/우리/광주/KEB하나/IBK기업/
NH농협/경남/수협
(*우리은행은 모바일 앱을 통해 가입가능)

모바일: 카카오페이
보증료 할인
(~21.6.30)
2억 이하 80%
2억 초과 70% 할인
HF 주택금융공사        

 

각 사별 구비서류도 한 번 알아볼까요?

SGI 서울보증보험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HF 주택금융공사
임대차계약서 임대차계약서 주민등록등본
등기부등본 등기부등본 확정일자부 임대차계약서
  전세보증금 수령 및 지금 확인서류
(보증신청서 또는 계좌이체내역서 등)
부동산 등기사항 전부증명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전입세대 열람내역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확인서 전세지킴보증 신청서
  전세계약 체결 내역 확인서 전세지킴보증 확약서
  인감증명서(필요 시) 개인정보제공동의서

 


실제로 제가 사는 집은 전세가가 2.2억, 매매가가 2.2억으로 역전세가 될 가능성이 높은 집이었습니다.

SGI에서는 가입불가 통보를 받았었고 HUG에서 다행히 가입을 했는데요.

18만원 안팎의 보험료 납부로 2년간 마음 졸이지 않고 살 수 있다는게 훨씬 크게 다가왔습니다.

 

갭투자가 많이 줄었다곤 하나 여전히 전세보증금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최근만 해도 화곡/강북 일대 대규모 전세사기, 세모녀 전세 투기단이 아주 난리였죠.

 

2018.00.00 이후로 법 개정이 되어 전세보증금 가입에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게 됐습니다.

다만 단독・다가구 주택의 경우 집주인의 사전 동의 및 협조가 필요하니

전세 계약시 꼭 전세보증보험 가입에 동의・협조한다는 특약을 넣으시길 바랍니다.